본문 바로가기
임신&육아

신생아의 몸속 비밀, 주의사항, 행동 패턴 및 건강 관리

by 맘호두 2024. 7. 21.

신생아의 몸속 비밀

신생아는 신진대사 속도가 어른보다 2~3배나 빠른 데다가 많은 양의 수분을 배설하기 때문에 늘 물이 부족하고 목이 마릅니다. 어른의 몸은 5265%가 물로 구성됐지만, 아기의 몸은 75~80%가 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도 배설하는 양에 비하면 턱없이 적어 탈수 증상이 나타나기 쉽습니다. 게다가 아직 신장 기관이 미숙해 어른처럼 몸 안의 수분을 조절하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아기에게 수분 공급은 매우 중요합니다. 아기가 수분이 부족한 것처럼 보이면 새끼손가락을 가만히 입에 물려본 후 손가락이 촉촉하게 젖으면 괜찮지만, 마른 것 같으면 젖이나 물을 먹여야 합니다. 아기의 엉덩이 살이 포동포동하고 말랑말랑해서 엉덩이뼈를 충분히 보호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뼈(대퇴골)가 연골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휘어지기 쉽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뼈에 무기질 등이 쌓이면 점점 단단해지고 고관절이 뼈를 둘러싸게 되지만, 신생아 시기에 엉덩이뼈의 위치가 잘못되면 고관절이 제대로 자라지 못하고 심하면 다리를 절게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아기가 엉덩방아를 찧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신생아의 후두는 어른보다 높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는 엄마 젖을 먹는 동안에도 숨을 쉬기 위해서입니다. 이러한 후두 위치 때문에 신생아는 입으로 숨을 쉴 수 없으며, 호흡은 온전히 코가 담당합니다. 따라서 신생아의 코가 막히면 중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기가 숨을 헐떡이거나 재채기하면 즉시 콧속을 청소해 줘야 합니다. 생후 몇 개월이 지나 후두 위치가 내려오면 입으로도 숨을 쉴 수 있게 됩니다. 그때까지는 아기 코가 마르거나 막히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신생아 주의사항

아기를 격렬하게 흔들면 머리뼈 속의 뇌가 앞뒤로 움직이면서 뇌출혈을 일으킬 수 있고, 심하면 사망할 수도 있습니다. 아기의 뇌에는 아직 충분한 수초(축삭돌기 주위를 둘러싼 지방막)가 없기 때문입니다. 수초는 태어나서부터 생후 6개월까지 감각과 운동 기능을 담당하는 신경 주변에서 빠르게 자라 축삭돌기들을 뒤덮게 됩니다. 이 상태가 되기 전에 심하게 아기 몸을 흔들면 뇌에 무리가 갈 수 있습니다. 아기의 시력은 아직 성숙하지 않아 나쁩니다. 아기가 엄마 얼굴을 똑바로 보고 있으면 엄마는 아기가 자신의 눈을 응시한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아기는 엄마의 피부와 머리, 입술과 치아 사이의 경계를 바라보고 있을 뿐입니다. 생후 6개월까지 아기의 시력은 0.1~0.25 정도밖에 되지 않으며, 생후 18~24개월 무렵이 되어야 1.0 정도로 발달합니다. 신생아는 추위도 잘 타고 더위도 잘 탑니다. 체지방이 부족해 체온 조절 능력이 미숙할 뿐 아니라 체중에 비해 신체 표면적이 넓어 주변 환경이나 온도 변화, 작은 움직임에도 체온 변화가 심합니다. 이는 체내 자동 온도 조절 장치를 작동하는 갑상샘이 덜 자랐기 때문입니다. 더울 때도 땀샘이 제대로 작용하지 않아 스스로 체온을 낮출 수 없습니다. 땀샘은 생후 8주는 되어야 제 역할을 하기 시작합니다. 따라서 생후 2개월까지는 너무 덥거나 춥지 않도록 실내 환경을 신경 써서 관리해야 합니다. 신생아의 체지방은 목뒤 등 몇몇 특수한 부위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아기가 추워할 땐 이불을 덮어주고 체지방이 있는 곳을 살살 문질러주면 체지방 세포가 활발하게 움직이면서 몸이 식는 것을 막아줍니다. 아기 볼이 통통한 이유는 연약한 턱뼈를 보호하기 위해서입니다. 통통한 볼은 아기가 무언가를 빨거나 삼킬 때 턱을 안전하게 받쳐줍니다. 턱과 입, 뺨과 혀가 제대로 움직일 정도로 성장할 때까지는 버컬 패드(buccal pad)라 불리는 피부밑 지방조직이 두꺼워지는데, 이것이 바로 아기의 볼살이 통통한 이유입니다. 신생아는 소화기관이 미성숙해서 먹은 것을 탄수화물로 전화하고 몸에 흡수하는 과정을 제대로 해내지 못합니다. 탄수화물로 전환되지 못한 모유나 분유는 소화기에 그대로 남아 있다가 발효되면서 가스를 생성시키는데, 이것이 아기가 거품 변을 보는 이유입니다. 거품 변을 볼 때는 물을 자주 먹여 소화를 도와야 합니다. 또한 변을 본 즉시 기저귀를 갈아주어야 기저귀 발진 등 2차 트러블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신생아의 행동 비밀

아기의 폐가 작고 신경 체계가 약간 꼬여 있어 숨이 빠르고 가쁘게 느껴집니다. 어른이 1분에 12~20회 정도 규칙적으로 천천히 숨을 쉰다면, 아기는 60회 정도 숨을 쉬고 그것도 아주 불규칙하게 숨을 쉽니다. 가끔 10초 정도 숨을 멈추기도 해서 엄마를 놀라게 하지만,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생후 6개월 정도가 지나면 어른처럼 규칙적인 패턴으로 숨을 쉬기 시작합니다. 아기는 심장박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횡격막이 덜 자라 딸꾹질을 자주 합니다. 생후 3~4개월 정도가 되면 횡격막 기능이 완성되어 딸꾹질하는 횟수가 줄어듭니다. 신생아는 자주 울어도 오래 울지는 않습니다. 눈물관은 막혀 있고 눈의 바깥쪽에 있는 눈물샘은 눈동자를 촉촉하게 만드는 정도의 수분만 갖고 있어 한참을 울어도 눈에는 한두 방울의 눈물만 맺힙니다. 생후 6개월 정도가 지나야 눈물관이 열려 눈물을 흘리며 울게 됩니다. 하지만 눈물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어서 눈에 염증이 생기기 쉽습니다. 눈과 코 사이를 집게손가락으로 자주 마사지해 주면 염증이 생기는 것을 어느 정도 막을 수 있습니다. 울지 않는데도 눈이 빨간 경우가 있는데, 이는 울음의 전조가 아니라 출산 도중 압박을 받아 결막 모세혈관이 터졌을 확률이 높습니다. 콧날(콧등)이 아직 자리를 잡지 못하고 주저앉아 있어서 양미간이 멀리 떨어져 있기에 아기는 가끔 사시가 될 수 있습니다. 이를 가성 사시라고 하며, 생후 3개월 정도 되면 나아지지만, 3개월이 지나도 계속 사시 증상이 나타나면 병원에 가서 진찰받아야 합니다.

신생아의 건강관리

신생아의 위장은 매우 작아 많이 먹지 못하므로 자주 배가 고픕니다. 움직임은 적어도 온몸으로 많은 열량을 소비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신진대사를 하는 데 많은 양의 에너지가 필요하지만, 그에 비해 위장 크기는 작아 자주 먹어야 허기를 달랠 수 있습니다. 그래서 2~3시간에 한 번씩 젖을 먹게 됩니다. 신생아의 위장은 어른의 15분의 1 크기인데, 돌이 지나면 3분의 1 정도 수준으로 자랍니다. 아기의 뇌는 태어날 때부터 제법 발달한 상태이지만, 움직임을 관장하는 소뇌는 발달이 더디기 때문에 생각대로 몸을 움직이지 못하고 가끔 움찔거리거나 의지와 상관없이 몸을 바둥거립니다. 이러한 모습은 수개월이 지나 소뇌가 충분히 성숙해지면 사라집니다. 아기가 버둥거리거나 움찔거리면 두 팔을 내리고 꼭 안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기가 대변을 볼 때 얼굴이 빨개지는 이유는 아직 복부 근육을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자궁 안에서는 복부 근육을 쓸 일이 없던 아기가 태어나 비로소 '변 보기'라는 힘든 과제를 맞이하게 됩니다. 난생처음 경험하는 일인 데다 늘 누워서 생활하느라 복부 근육을 키울 틈이 없기 때문에 한동안은 변을 볼 때마다 얼굴이 빨갛게 달아오를 정도로 힘들어합니다. 신생아의 다양한 비밀들을 이해하고 잘 돌본다면, 아기의 건강과 발달을 돕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초보 엄마들에게는 이러한 정보들이 매우 유용할 것입니다. 아기의 몸은 아직 성숙하지 않아 많은 주의와 세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아기를 돌보면 더 건강하고 행복한 성장을 도울 수 있을 것입니다.